웹스터디 1주차(HTTP 첫번째)
- 개요
- 일시 : 17년 03월 11일(토) 10시 ~ 12시 30분
- 장소: 궁동 카이로스 카페
- 참석자 : 신형섭, 양윤서, 이현규, 김응백, 이상훈
- 스터디 진행 회의
- 스터디 방법 및 방향 설정
- 장소
- 충남대 내 지란지교 스터디 실(예정)
- 카이로스
- 주기 및 모임 시간
-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, 2시간씩
-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
- 진행 방식
- 이론
- 각 파트별로 서적을 정해 학습 수행
- 각자 일주일간 정해진 챕터 학습
- 모임 때는 본인이 맡게된 챕터에 대해 주도적으로 진행
- 궁금한 점, 알게된 점, 추가적인 사항 공유
- 실습
- 게시판 서비스를 1차 목표로 구현
- 각자 같은 요구사항에 대해 구현하되 핵심 기능은 페어 코딩
- 스터디 주제(순서대로)
- HTTP
- Node.js
- Express
- MongDB
- AWS(미정)
- javascript
- 웹언어(html, javascript, css 등)은 스터디 수행간에 지속적으로 학습될 것으로 예상
- 서적
- 그림으로 배우는 HTTP & Network basic
- 모던 웹을 위한 Node.js 프로그래밍
- 기타
- 웹개발과 관련된 세미나 및 컨퍼런스 일정 공유 및 참가
- 구글독스 및 블로그에 학습 내용 공유
- 학습 내용
- 1장(웹과 네트워크의 기본에 대해 알아보자)
- 웹은 HTTP라는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한다.
- IP
- 개개의 패킷을 상대방에게 전하는 역할
- 용어 정리
- IP : 프로토콜 명칭
- IP 주소 : 각 노드에 부여된 주소, 변경 가능
- MAC 주소 : 각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된 고유의 주소, 변경 불가
- IP 통신은 MAC 주소에 의존해서 통신
- 통신 시 사이사이에 중계기가 있어 최종 목적지까지 도달, 이 때 ARP라는 프로토콜이 쓰임
- TCP
- 신뢰성을 담당하는 프로토콜
- three hand shaking 방식을 통해 제대로 보냈는지 여부를 확인
- DNS
- 도메인 이름과 IP주소 이름을 확인한다
- 통신 흐름
- 2장(간단한 프로토콜 HTTP)
-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리퀘스트와 리스폰스를 교환하는 통신방법이다.
- HTTP는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이다.
- 리퀘스트 URI로 리소스를 식별한다.
- HTTP에서 메소드를 제공하고 있다.
- GET: 리소스 획득
- POST: 엔터티 전송
- PUT: 파일 전송
- DELETE: 파일 삭제
- 액션 아이템
- 그림으로 배우는 HTTP & Network basic 4~7장 학습
- 스터디 명 만들어야 함
- 블로그 및 깃헙 개설해야함
- 스터디 주제 별로 학습 기간 정해야 함
- 다음 일정: 17.03.16( 목), 카이로스 카페
댓글
댓글 쓰기